Fiscal Performance Management Institute
공공기관의 재정성과관리를 통하여 효율적,효과적 재정 유지를 위한 기초 연구 및 대안을 제시합니다AI-RPA분석센터
- HOME
- AI-RPA분석센터
- 1. 인적 구성
-
- 센터장 : 배득종 (연세대학교)
- Brightics AI를 이용한 국가 재정의 분석. 한국조세재정연구원(2023)
- 교육청 인공지능 교육사업 현황과 정책방향. 충남도의회(2023)
- Data Visualization on Demand. 한국조세재정연구원(2022)
- Application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fficient Financial Information Analysis System of Indonesian IFMIS. Korea Development Institute(2022)
- 4차산업혁명과 재정관리. 한국행정학회(2019)
- 부센터장 : 유재민 (비용편익분석 전문가, 연세대 행정학박사)
- BPR실장 : 임충혁 (회계 및 Data Scientist, 인하대 회계학박사)
- IT개발실장 : 배재연 (Java/Python 전문가, 싱가폴 MDIS/영국 Bradford 대학)
- 센터장 : 배득종 (연세대학교)
- 2. AI-RPA분석센터의 관심 분야
-
- 빅데이터 분석
- AI를 활용한 재정추계
- AI를 활용한 재정사업평가 및 정책결정
- AI 관련한 사업분석과 정책과제
- 3. 주요 업무
-
- ① AI : Machine Learning과 Deep Learning으로 예전에 할 수 없었던 재정분석을 실시하고, 혁신적인 재정관리 향상 방안을 찾아냄
- 기관장의 발표나 지시사항과 재정 간의 연계성/대응성 측정
- 정부, 지자체, 공공기관의 세입/세출 패턴을 사상체질(四象體質)로 분류하여, 해당 기관의 패턴에 부합하는 재정관리 방안 제시
- 관내 지도에 재정 등고선을 그려서, 재정정보의 시각화/관리 고도화
- 감성분석(sentiment analysis)을 활용하여, 각 기관의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(언론, 단체)의 동향을 계량적/객관적으로 파악
- PCA(주성분분석), Neural Network Analysis(신경망 분석)을 이용하여, 각종 성과평가를 다차원화, 고도화
-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업평가: 예, 행사축제의 성공을 통화량으로 측정
- ② RPA : 로봇(Robot Process Automation)을 이용한 자동화로 업무 애로와 업무 시간 대폭 감축
- 재정관련 각종 보고 양식을 “로봇(RPA)”이 자동 생성. 출력
- 인공지능 문자인식으로 지출 전표의 자동 분개 시 오류의 최소화
- 비용편익분석의 자동화로 신규 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자체 평가
- ③ 첨단 계량기법 활용
- System Dynamics 기법으로 “복잡성 분석”
- SWOT과 MAUT를 결합하여 조직진단 및 발전방향에 관한 지원
- ① AI : Machine Learning과 Deep Learning으로 예전에 할 수 없었던 재정분석을 실시하고, 혁신적인 재정관리 향상 방안을 찾아냄
- 4. 연구진 실적
-
- 정부기관 재무담당부서의 AI에 대한 수요 조사
- 재정데이터 Business Intelligence - Visualization On Demand
- Brightics AI의 활용 :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운영하는 네가지 유형
- AI로 분석한 지방자치단체의 세계잉여금과 불용액 패턴
- 제2영동고속도로 건설과 운영에 관한 비용편익분석
- AHP와 MAUT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의사결정지원시스템(DSS) 개발
- dBrain의 해외 수출/ e-호조의 수출 방안 컨설팅
- 국제협력 : 쿠웨이트, 인도네시아, 필리핀, 몽골 재무부에 대한 정부통합재정정보관리시스템(G-IFMIS) 구축 및 운영방안 컨설팅
- 정부의 각종 문서관리시스템 개발(특히, PDF)